·

광고
광고
728x90
반응형

DAD 해석방법을 설명하시오

 

****이 자료는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업적이용이나 불펌을 금지합니다.****

 

DAD 해석방법

 

1. 정의

 

  1) 지속기간별 면적우량은 대상 유역의 규모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를 최대평균우량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DAD곡선을 이용한다.

  2) DAD곡선은 각 유역별로 우량의 깊이(depth), 유역면적(area), 지속시간(duration)에 따라 변화하는 관계를 나타낸다.

 

2. 면적우량환산계수 산정방법(면적강우량, 강우의 공간분포 방법)

 

  1) 면적고정형 : 확률강우량에 ARF를 적용하여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2) 호우중심형 : PMPDAD곡선을 이용하여 유역최대강우량 산정

 

3. 해석방법

 

  1) 유역 내 각 관측소의 누가우량곡선을 구한다.

  2) 유역을 몇 개의 소유역으로 나눈다(등우선법, 티이센법 이용)

  3) 각 소유역별 평균누가우량곡선을 작성한다.

  4) 소유역의 누가면적별로 평균누가우량곡선을 작성한다.

  5) 소유역의 누가면적별, 지속기간별, 최대평균우량을 결정한다.

  6) 이를 반대수지에 곡선을 도시한다

    1) 종축(Y) 대수축 : 유역면적

    2) 횡축(X) 산술축: 최대 평균우량

    3) 3의 변수 : 지속기간

평균누가우량곡선

  7) 최대평균우량은 지속시간에 비례하고 유역면적에 반비례한다.

 

4. 결론

 

  1) DAD 곡선은 유역면적별, 지속기간별 최대평균우량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도로암거, 고속도로의 배수구 등의 소규모 수공구조물 설계에 유익하게 사용된다.

  2) PMP 산정시 DAD분석을 통해 유역면적별, 지속기간별, 유역평균 최대강우량 산정에 이용한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DIOS

 

 

****이 자료는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업적이용이나 불펌을 금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광고

+ Recent posts

광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