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광고
728x90

****이 자료는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업적이용이나 불펌을 금지합니다.****

 

가능최대강수량(PMP), 가능최대홍수량(PMF)

 

 

가능최대강수량(PMP), 가능최대홍수량(PMF)

 

1. 정의

  1) 어떤 지속시간에서 어느 특정 위치에 주어진 유역에 대하여 연중 지정된 기간동안에 물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론적 최대강수량을 가능최대강수량이라 하며

  2) 이를 이용하여 산정한 홍수량을 가능최대홍수량이라 한다.

 

2. PMP 산정방법

  1) 수문기상학적 방법

    (1) 호우 전이에 의한 방법

      - 호우가 발생한 지역에서 호우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으로 옮겨가는 호우 전이로 추정하는 방법이다.

      - 호우의 효율을 고려하여 관측강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 PMP = 유역평균강우량 수분최대화비 수평전이비 수직 전이비 지형영향비

    (2) 가능최대강수량도(PMP)에 의한 방법

      - PMP도는 지형도에 지속기간별(1, 2, 6, 12, 24, 48, 72시간) 유역 면적별(25, 100, 200, 1000, 2000, 7000, 10000)로 등우선을 표시하여 총49매로 작성되어 있다.

      - 유역의 최적 PMP를 쉽게 추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 우리나라에서 공인된 PMP 결정방법의 기준이다.

  2) 포락곡선 방법

      - 기상자료와 강수량자료가 부족한 경우 강우량 기록의 포락곡선을 이용하여 지점 PMP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3) 통계학적 방법

    (1) 기상자료는 거의 없으나 강수량자료가 충분한 경우 빈도계수법을 이용하여 지점 PMP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2) 자료의 한계성과 산정방법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3) 지표자료로만 이용된다.

 

3. 가능최대홍수량(PMF) 산정(PMP에 의한 산정 1~3까지)

  1) PMP도에서 PMP를 추정하고자 하는 대상유역의 위치, 면적, 중심을 결정한다

  2) 대상유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유역면적별, 지속시간별 PMP값을 결정한 후 DAD곡선을 작성한다.

  3) DAD곡선을 포락 및 균일화하여 해당하는 유역면적별, 지속기간별 PM P를 결정한다.

  4) PMP시간분포시켜 우량주상도 작성

    - Mononobe의 중앙집중형 또는 Huff방법으로 시간분포시켜 주상도를 작성한다.

  5) PMP 유효우량주상도 작성

    - SCS-CN법으로 손실우량을 분리하여 작성한다.

  6) 단위유량도 산정

    - 기왕의 홍수자료를 분석한 대표단위도를 이용한다.

    - 미 계측 유역은 합성단위유량도법을 이용한다.

  7) 홍수수문곡선(PMF 산정)

    - 유효우량 주상도에 단위유량도를 합성하여 직접유출수문곡선을 작성한 후 기저유량을 더하여 홍수수문곡선을 작성한다.

    - 이때 첨두유량점이 PMF가 된다.

 

4. 국내 댐의 설계빈도

  1) 대규모 댐 : PMF 적용

  2) 콘크리트댐 여수로 설계 : 200년빈도 홍수량

  3) 사력댐 여수로 설계 : 200년빈도 홍수량의 120%

 

5. 결론

  1) 우리나라는 200년 확률홍수량으로 장기간의 홍수자료를 빈도 분석하여 댐의 설계홍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2) 최근 지구의 온난화와 엘리뇨현상 등으로 집중호우 현상이 빈번하게 되어 댐 규모가 작은 경우에도 홍수의 위험이 있으므로

  3) 설계기준을 더 강화하여 가능최대홍수량을 적용하여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

  4) 또한 가능최대홍수량을 적용하여 설계하는 댐은 집중 호우 및 이상강우에 의한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홍수조절용량, 환경용수 등을 저수용량에 포함하여 결정해야 한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DIOS

 

 

****이 자료는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업적이용이나 불펌을 금지합니다.****

 

728x90
광고

+ Recent posts

광고 /